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톱무좀2

발톱 박리증 치료 후기(무좀과 차이점, 연고처방) 발톱 박리증은 발톱 무좀과 유사해 전문의가 아니면 구분이 어렵다.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 박리증을 확인하고 무좀과는 다른 치료를 해야 한다. 박리증은 무좀과 달리 가려움증이나 피부 벗겨짐은 없으나 발톱색이 상아색으로 변하고 때에 따라 통증이 있다는 점이 비슷하다. 1년 이상 장기치료를 받아야 하며 예후가 좋지 않아 박리증 발생 이후는 꾸준히 관리하는 것으로 치료를 대체하기도 한다. 초반에는 1달에 1번 무좀약을 복용하고 1일 1회 아토피 치료 연고를 발톱에 도포하는 처방을 받았다. 무좀과 아토피가 아님에도 박리증 치료에 무좀약을 먹고, 아토피 연고를 바르는 이유는 발톱이 뜨기 때문에 그 사이로 유해균이 들어가 또 다른 염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1. 발톱 박리증이란?발톱 박리증(Onyc.. 2025. 1. 13.
발톱 멍 병원가야하나? 흑색종과 구분하는 방법 1. 발톱 멍걷기, 러닝, 운동으로 인해 발톱에 멍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발톱에 처음 멍이 들 땐 검붉은 색에 가까운 멍 색깔이 발톱에 보입니다. 그래서 이게 멍인지, 무좀인지, 흑색종은 아닌지 구분하기가 모호하고 통증까지 있는 경우 병원을 가야 하는 고민도 됩니다. 오늘은 발톱에 멍이 들었을 때 병원에 가야 하는건지, 내원 전 흑색종이나 무좀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는지 공유해 드릴까 합니다. 2. 발톱 멍 통증 및 증상발톱멍은 멍이 들고 있는 당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눈에 보일 정도로 피멍이나 검붉은 색, 검은색, 보라색, 파란색, 황색, 갈색 등의 색깔로 멍이 올라오면 통증이 시작됩니다. 걸을 때 욱신한 통증이 느껴지며 앉아 있을 때나 자려고 누웠을 때, 심지어 수면 중에도 멍든 부위.. 2024.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