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육아2 아이에게 조건을 거는 대화를 하면 안되는 이유 "숙제 먼저 하면 이따가 폰 30분 보게 해 줄게" "채소 한 입만 먹으면 고기 더 먹게 해 줄게" "동생한테 양보하면 엄마가 누구 좋아하는 장난감 사줄게" 이렇게A 하면 B 해줄게 식으로 말하는 것을 조건형 대화라고 해요. 아이에게 조건형으로 대화를 하게 되면 1) 비교적 심플하게 부모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고 2) B 때문에라도 아이가 말을 잘 듣는 경우가 많아서 많은 부모님들이 이런 대화법을 쓰시곤 합니다. 하지만 조건형 대화가 반복될 경우 부작용이 따르는데요. 첫 번째는 아이가 보상을 당연히 여긴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상이 없으면 행동을 할 이유를 못 느끼게 됩니다. 스스로 느끼는 성취감, 뿌듯함을 느끼기 어렵고 오히려 보상을 안 해주거나 약하게 해주는 부모에게 서운한 마음이 앞서게 되죠. 두 .. 2022. 9. 7. 양육방식 점검하기 - 셀프 체크 테스트 나는 어떤 양육방식을 가졌을까? 아래의 질문을 읽고 나에게 해당되는 질문에 표시해보세요^^ 1 아이를 먹이고 입히고 씻기는 일을 마치 병원에서 간호사가 환자의 치료 스케줄에 따라서 일하듯 착오 없이 접근하려고 노력한다. 2 아이가 기대한 만큼 밥을 먹지 않거나 잠을 덜 자면 심한 불안감을 느끼고 아이한테 화가 난다. 3 자신은 아이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으믐로 자신이 하지 못하는 일들은 배우가작 보완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아이 때문에 만나는 다른 양육자들과 육아에 대한 의견이 맞지 않으면 크게 스트레스를 받는다. 5 아이와 내가 원하는 만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6 열심히 만든 밥을 아이가 잘 먹지 않거나 말을 잘 듣지 않을 때 가끔씩 아이가 일부러 나를 괴.. 2019. 9. 5. 이전 1 다음 반응형